남궁성님의 Java의 정석(3rd Edition)을 보고 정리한 글입니다. 1. ArrayList이란?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때문 데이터 저장순서가 유지되고 중복을 허용Vector를 개선한 것으로 기능적인 면에서 동일베이스가 배열이라서 더 이상 저장 공간이 없으면 보다 큰 새로운 배열(저장 공간)을 생성해서 기존의 배열에 저장된 내용을 새로운 배열로 복사(리사이징)한 다음 저장 ⇒ 미리 여유 있게 공간을 차지하도록 할당하는 것이 효율적임.장점읽기(접근시간)가 빠름.순차적인 추가/삭제 빠름단점비순차적인 추가/삭제는 느림(배열을 복사하는 과정이 있기 때문)비효율적인 메모리 사용 2. Vetor vs. ArrayListVector는 기존에 작성된 소스와 호환성을 위해 남긴 것이기 때문 ArrayList..

Programming
1. Google Guice?Spring은 DI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반면에 Google Guice는 DI 프레임워크이다.작은규모의 프로젝트나 경량성이 중요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Communicator 인터페이스를 정의했다고 가정하자. Communicator 구현체는 CommunicatorImpl이다. 만약 구현체를 변경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 Communication과 Communicator 는 강하게 결합되어 있어 유지보수에 상당한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2. 문제 코드public interface Communicator {}public class CommunicatorImpl implements Communicator{}public class Communication { ..
남궁성님의 Java의 정석(3rd Edition)을 보고 정리한 글입니다. 자바에서 제공하는 java.net 패키지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부분을 쉽게 작성할 수 있다. java.net 패키지를 알아보기 전에 네트워크 모델과 IP 주소에 대해 알아보자. 1. 네트워크 모델 / IP 주소a. 클라이언트(Client)/서버(Server)서버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클라이언트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컴퓨터안정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공유 데이터의 관리와 보안이 용이하다.서버구축비용과 관리비용이 든다. b. P2P 모델(peer-to-peer model)별도의 서버없이 각 클라이언트가 서버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모델서버구축 및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자원의 활용을 극대화 할 ..
남궁성님의 Java의 정석(3rd Edition)을 보고 정리한 글입니다. 1. 람다식(Lambda Expression)이란?java 8부터 람다식을 등장으로 Java는 객체지향 언어의 특징과 함수형 언어 특징을 함께 갖추게 되었다.함수(메서드)를 간단한 식(Expression)으로 표현하는 방법익명함수(anonymous function)이라고도 한다. 2. 람다식 사용 방법(매개변수 선언) -> { // 문장들 }// 메서드 이름과 반환타입을 제거하고 '->'를 블록앞에 추가한다.(int a, int b) -> { return a > b ? a: b;}// 반환값이 있는 경우, 식이나 값만 적고 return문 생략 가능 (끝에 ';' 안 붙임)(int a, int b) -> a > b ? a : ..
남궁성님의 Java의 정석(3rd Edition)을 보고 정리한 글입니다. 쓰레드를 구현 방법을 알아보기에 앞서 프로세스, 쓰레드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1. 프로그램 / 프로세스 / 쓰레드a. 프로그램(Program)HDD, SSD와 같은 디스크에 저장된 실행 가능한 파일이다.b. 프로세스(Process)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다.운영체제에 의해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아 실행 중인 것프로세스는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데이터와 메모리 등의 자원 그리고 쓰레드 구성된다.c. 쓰레드(Thread)프로세스 내에서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모든 프로세스는 하나 이상의 쓰레드가 존재하여 작업을 수행한다.둘 이상의 쓰레드를 가진 프로세스를 멀티쓰레드 프로세스라고 한다.프로세스의 메모리 한계에 따라 생성할 수 있는 ..
남궁성님의 Java의 정석(3rd Edition)을 보고 정리한 글입니다. 1. 컬렉션 프레임웍의 핵심 인터페이스핵심 인터페이스로는 List, Set, Map이 있다.List, Set은 공통된 부분이 많아 공통 부분을 인터페이스(Collection)으로 정의했다.Map은 List, Set과 달리 key-value 구조이기 때문에 별도의 인터페이스로 정의했다. a. List순서를 유지하고, 데이터 중복을 허용한다.구현클래스: ArrayList, Vector, LinkedList, Stack 등 b. Set순서를 유지하지 않고, 데이터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순서를 유지하고 싶으면 LikedHashSet 사용구현클래스: HashSet, TreeSet 등 c. MapKey, Value 구조의 데이터 집합순서는..
1. 소스파일 vs 클래스파일 vs jar 파일a. 소스 파일 (xxx.java)개발자가 작성한 소스코드 파일이다. b. 바이트 코드 파일 (xxx.class).java 파일을 자바 컴파일를 통해 바이트 코드로 변환한 파일이다. c. jar 파일 (xxx.jar).class 파일을 압축한 파일로 압축을 풀면 .class 파일 상태가 된다.jar파일 자체가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며, jar 파일 형식으로 쉽게 배포할 수 있다. 빌드를 진행해보겠다.2. 빌드1. 아래의 .java 파일을 빌드를 진행한다. 2. 빌드를 진행하면 jar 파일이 생성된다. 3. jar 파일을 압축을 풀면 패키지와 동일한 디렉토리에 .class 파일로 압축을 풀게된다.
남궁성님의 Java의 정석(3rd Edition)을 보고 정리한 글입니다.1. 에러의 종류에러의 종류에는 논리적 에러,컴파일 에러, 런타입 에러가 있다. a. 논리적 에러개발자 실수(논리적 오류)로 인해 실행은 되지만, 의도와 다르게 동작하는 것b. 컴파일 에러컴파일 시점에 발생하는 에러ex) 문법을 잘못 작성해서 발생하는 에러ex) 타입체크 에러c. 런타임 에러실행 시 발생하는 에러런타임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에는 2가지가 있다.에러(error)프로그램 코드에 의해서 수습될 수 없는 심각한 오류로 시스템이 종료되어야 할 수준ex) StackOverflowError: 재귀가 지속되어 호출 깊이가 깊어져 발생하는 오류ex) OutOfMemoryError: JVM 메모리 부족으로 객체를 할당할 수 없을 때..
남궁성님의 Java의 정석(3rd Edition)을 보고 정리한 글입니다. 내부 클래스(inner class)?두 클래스간의 긴밀한 관계를 가지며, 두 클래스의 멤버들 간에 서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내부 클래스의 종류에는 인스턴스 클래스, static 클래스, Local 클래스, 익명 클래스가 있다.내부 클래스도 클래스이므로 abstract나 final과 같은 제어자를 사용할 수 있다.내부 클래스도 멤버변수처럼 접근제어자도 사용할 수 있다.a. 인스턴스(instance) 클래스?외부 클래스의 멤버변수 선언 위치에 선언인스턴스 멤버처럼 사용주로 외부 클래스의 인스턴스 멤버들과 관련된 작업접근제어자도 인스턴스 멤버처럼 동일하게 적용된다.class Cart { // 장바구니 클래스 ArrayList list..
남궁성님의 Java의 정석(3rd Edition)을 보고 정리한 글입니다. 추상클래스와 인터페이스를 알아보기 전에 객체지향의 핵심 원리인 다형성에 대해서 정리해보자.1. 다형성(polymorphism)이란?부모 타입의 참조변수로 자식타입의 객체를 다룰 수 있는 것자식타입의 참조변수로는 부모타입의 인스턴스를 참조할 수 없다.다형성을 사용하면 유지보수에 큰 이점을 가져올 수 있으면 객체지향의 핵심 원리이다.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arent parent = new Child(); // => 다형성 Child child = new Parent(); // 에러. 자식은 부모의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