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지난 포스팅에서 리눅스 redhat 계열에서 postgreSQL 9.6 버전 설치과정을 다뤘었다.
https://soonmin.tistory.com/99
[PostgreSQL] dnf(yum)로 postgreSQL 9.6(오래된 버전) 설치
1. 개요사용하고 있는 OS는 리눅스 redhat 계열의 Rocky 8.10을 사용하고 있다.이 글 작성 기준(2024.09월) postgreSQL 버전은 16.4까지 나왔지만, 필자는 9.6 버전을 설치해야 했다. 공식 사이트에서 yum repo
soonmin.tistory.com
설치 후 postgreSQL의 data와 log를 쌓는 경로를 따로 잡아주지 않으면 디폴트 경로에 데이터들이 쌓일 것이다.
해당 경로에 용량이 충분하다면 괜찮겠지만, 부족하다면 용량이 충분한 디스크에 저장하도록 설정을 변경 해주는 것이 좋을 것이다.
data 경로와 log 경로를 설정해주자!(postgreSQL 9.6 버전 기준이다. 버전업 되면서 방법도 바뀐 것 같으니 참고!)
2. data 경로 설정 과정
postgreSQL data가 쌓이는 경로를 /data/pgsql/data 로 바꿔줄 것이다.
a. 변경할 data dir 생성 및 dir 소유권 변경
sudo mkdir -p /data/pgsql/data # 변경할 data dir
sudo chown postgres:postgres /data/pgsql/data # dir 소유권 변경
sudo chmod 700 /data/pgsql/data # dir 권한 설정
b. db 초기화
sudo -u postgres /usr/pgsql-9.6/bin/initdb -D /data/pgsql/data
초기화를 해주면 /data/pgsql/data 경로에 아래의 파일들이 생성될 것이다.
c. postgresql-9.6.service 파일 수정
vi 편집기로 postgresql-9.6.service 파일을 열어서 PGDATA 경로를 수정해주자.
sudo vi /usr/lib/systemd/system/postgresql-9.6.service # vi 편집기 열기
Environment=PGDATA=/data/pgsql/data/ # 경로 수정
d. service 파일 reload 및 서비스 시작
sudo systemctl daemon-reload
sudo systemctl start postgresql-9.6.service
ps 명령어로 실행 옵션에 -D /data/pgsql/data(변경 경로)로 실행되었는지 확인해보자.
3. log 경로 설정 과정
a. 변경할 log dir 생성 및 dir 소유권 변경
sudo mkdir -p /data/pgsql/log # 변경할 log dir
sudo chown postgres:postgres /data/pgsql/log # dir 소유권 변경
sudo chmod 700 /data/pgsql/log # dir 권한 설정
b. postgresql.conf 수정
vi 편집기로 postgresql.conf 파일을 열어서 log_directory 경로를 수정해주자.
sudo vi /data/pgsql/data/postgresql.conf # vi 편집기 열기
log_directory = '/data/pgsql/log' # log 경로 변경
c. 서비스 재시작
sudo systemctl restart postgresql-9.6
변경한 log 경로를 가보면 로그 파일이 생성되었을 것이다.
'Data Infra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stgreSQL] 데이터 백업 및 복원 하는 방법 (0) | 2025.02.25 |
---|---|
[Database]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과 격리 수준(개념, 설정) (0) | 2024.10.31 |
[PostgreSQL] dnf(yum)로 postgreSQL 9.6(구버전) 설치 (0) | 2024.09.04 |